목빗근(흉쇄유돌근)이란? 거북목 스트레칭으로 통증 완화하기

현대인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간헐적으로 뒤통수가 찌릿찌릿하는 불쾌한 통증을 경험할 때가 많습니다. 목빗근을 이해하는게 중요한데요. 이 통증은 후두부로 올라가며, 이를 후두 신경통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머리를 꾹꾹 누르곤 합니다. 지금부터 통증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목근육 이미지1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이란?

목빗근, 혹은 흉쇄유돌근은 양쪽 목줄기에 위치한 두 갈래의 큰 근육입니다. 이 근육은 흉골머리와 쇄골머리 내측에 붙어 있으며, 목을 옆으로 돌릴 때 두드러지게 만져집니다. 목빗근은 머리와 목을 좌우로 움직이거나 위아래로 넘길 때 주로 사용되며, 일상생활에서 자주 피로해지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후두 신경통과 목빗근의 피로

후두 신경통은 뒤통수에 느껴지는 찌릿찌릿하거나 순간적으로 쏘는 듯한 통증을 말합니다. 이 신경통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목빗근의 피로와 경직입니다. 목빗근이 경직되면 경동맥이 눌리게 되고, 혈류량이 줄어들면서 후두 부근에 혈류가 쏠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서 찌릿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거북목 증후군과 목빗근

건강한 체형에서는 머리와 목뼈가 중립을 유지하지만, 거북목 자세는 목과 어깨 근육 및 인대가 늘어나면서 발생합니다. 거북목이 되면 목과 어깨가 불편해지고, 작업 능률 저하, 피로감, 팔 저림,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낮은 모니터나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스마트폰을 볼 때 거북목 증후군이 많이 발생합니다.

거북목 체크리스트

  • 어깨보다 목이 앞으로 나와 있는지
  • 등이 굽어있는지
  • 어깨와 목 주변이 결리는 느낌이 있는지
  • 쉽게 피로해지고 잠을 자도 피로감이 가시지 않는지

거북목 증상이 심할 경우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을 통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목근육 이미지2

목빗근(흉쇄유돌근) 스트레칭 방법

목빗근의 경직을 완화하기 위한 스트레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세 유지: 허리를 세우고 턱을 당긴 상태에서 시작합니다.
  2. 흉골과 쇄골 고정: 양손으로 흉골과 쇄골을 붙잡고 살짝 내려줍니다.
  3. 목빗근 스트레칭:
    • 오른쪽 목빗근을 스트레칭하려면, 고개를 왼쪽으로 살짝 숙이고 오른쪽으로 돌려 옆을 봅니다.
    • 이 상태에서 턱을 앞으로 내밀었다가 당깁니다. 이 동작을 천천히 10회 반복합니다.
    • 반대쪽도 동일하게 반복합니다.
목빗근 스트레칭 영상보기 이미지

결론

‘잘 먹고 잘 사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잘 스트레칭하는 것’입니다. 목빗근 스트레칭은 거북목과 후두 신경통을 완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바른 자세와 정기적인 스트레칭을 통해 건강한 목 상태를 유지해보세요.

Leave a Comment